Seq2Seq 기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데이터 시각화 Plot 그리기
이화여대 2021-1학기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B 스타트7팀 Ewha Visualization Recommendation Program(ERP) 기술 튜토리얼에 관한 글입니다. 본 포스팅은 시각화 추천 프로그램(Visualization Recommendation Program)을 개발하는 과정 중, Seq2Seq 모델을 기반으로 한 Data2Vis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적합한 시각화 Plot을 자동으로 그려주는 딥러닝 모델을 학습
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작성되었습니다.
Contents
- About Our Project
- Data2Vis
- Model Archi.
- Our Model
- Dataset
- Model config & Training
- Tensorboard - Loss
- Web Demo
- Conclusion
About Our Project…(and goal)
안녕하세요. 논문 리뷰 글이 아닌 프로젝트 관련 글은 오랜만인 것 같습니다.
요즘 캐글, 데이콘 등 데이터 분석 관련 Competition들이 굉장히 많다는 걸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실 겁니다. 저도 데이콘 대회에 수상한 경험이 있고, 지금은 예전만큼은 못하지만 한창 Data Science 공부를 많이 할 때가 있었습니다.
처음 데이터 분석을 공부하시는 분들부터 전문적으로 다루시는 분들까지,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지나칠 수 없는 부분은 단연코 Visualization about DATA
일 것입니다. 캐글에서 대회 하나가 열리자마자 한시간 내로 아름다운 EDA plot들이 고수님들의 손을 거쳐 그려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Kaggle에서는 Notebook 분야의 그랜드 마스터분들이 주로 이 역할을 맡죠.)
또한 이러한 데이터 사이언스 대회가 아니더라도, 비즈니스 분석에 있어서 현재 자사/개인이 갖고 있는 데이터가 어떤 형태이고 어떤 의미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이러한 상황(=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상황)에 발맞추어 Data Visualization에 대한 연구 또한 발전되고 있습니다.
저희 팀은 이 Data Visualization
연구에서도 자동으로 plot(chart)을 그려줄 수 있는 (딥러닝을 이용한) Data Visualization Recommendation을 프로젝트 주제로 하였습니다. 자세히는 저희가 제공하는 샘플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셋을 upload 했을 때, 저희의 Visualization Recommendation 모델이 데이터셋을 해석하여 여러 개의 plot을 그려주어 사용자에게 추천해주는 것입니다.
즉 요약하자면,
- 데이터셋(e.g., csv, tsv, json)을
input
으로 하여 - 저희의 딥러닝 모델이 해당 데이터셋에 대한 적절한
chart(visualization) recommendation
을 k개 리스트업하여 보여주고 - 사용자가 chart를 선택
- 추가적으로는 차트를 편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
의 기능을 구현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사용자가 chart를 선택하기 전’까지의 과정, 즉 데이터셋을 받아 딥러닝 모델이 chart recommendation을 몇 가지 보여주는 단계까지 작성되었습니다.
Data2Vis
앞서 Data Visualization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하였는데, 이에 따라 당연히 Visualizaiton Recommendation 연구도 상당히 발전하였습니다. 관련하여 여러 개의 논문을 읽어보았고 github 코드 등을 다 살펴본 후 내린 결과, 저희는 Data2Vis : Automatic Generation of Data Visualizations Using Sequence-to-Sequence Recurrent Neural Networks 논문에 제시된 모델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물론 저희가 사용할 데이터셋에 더 optimize할 예정이므로 모델에 대한 여러 가지 실험들을 방학동안 거칠 예정입니다.)
Data2Vis
는 visualization generation 문제를 하나의 language translation problem으로 보았고, 이 문제를 attention 베이스의 LSTM encoder-decoder 모델을 사용하여 해결하였습니다.
또한 그래프를 그려내는 grammar로 JSON 포맷의 Vega-Lite
를 사용합니다.
- 따라서, 학습용 데이터셋도 Vega-Lite 코드!
- 데이터셋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 섹션에서 더 자세하게 진행하겠습니다.
Data2Vis 모델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보고 해당 섹션은 마무리합니다. (이전 게시글에 더 자세히 리뷰되어 있습니다. 아래 부분은 해당 글을 발췌하였습니다.)
Model Architecture
- the data visualization problem as a Seq2Seq translation problem
1 2
input : dataset (fields, values in JSON format) output : valid Vega-Lite visualization specification
- encoder-decoder archi.
where the encoder reads and encodes a source sequence into a fixed length vector, and a decoder outputs a translation based on this vector.
- Attention Mechanism
Attention mechanisms allow a model to focus on aspects of an input sequence while generating output tokens.
- Beam Search algorithm
The beam search algorithm used in sequence-to-sequence neural translation models keeps track of k most probable output tokens at each step of decoding, where k is known as the beamwidth. This enables the generation of k most likely output sequences for a given input sequence.
THREE techniques : bidirectional encoding, differential weighing of context via an attention mechanism, and beam search
- character-based sequence model
Our Model (Dataset, Training-Settings…)
1
2
📩 input : 1개의 dataset
📬 output : visualization recommendation plot
본격적으로 저희 프로젝트에 사용할 모델을 만들겠습니다. 사실 data2vis 깃허브에서 제공하는 pretrained model이 있지만, 어차피 방학에 여러 실험을 할거니까 미리 연습해본다는 생각으로 처음부터 새로 학습시켰습니다.
Dataset
Vega-Lite 그래머 기반의 양질의 plot 데이터셋을 크롤링하는 등 따로 수집해오기 어렵다고 판단한 결과, data2vis가 학습할 때 사용했던 데이터셋을 그대로 사용하였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사용된 데이터셋은 data2vis github에 있습니다.)
원본 데이터 예시
barley.json
plot을 그리고자 하는 원본 데이터가 위와 같은 형태를 가진 json 타입의 데이터라 가정하겠습니다.
이는 모델을 학습시킬 때 사용되는 training data 중 하나로, 위의 barely.json 데이터에 대한 plot을 그리는 Vega-lite 그래머 기반의 데이터입니다.
즉, Vega-lite 그래머 기반의 plot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형식의 데이터셋이 학습용으로 필요한 것입니다.
barley.json 데이터의 일부와 위의 Vega-lite 그래머 기반 코드를 Vega Editor를 통해 그린 plot입니다.
"mark" : "bar"
로 코딩했듯이 bar 차트이고, encoding
파트를 봤을 때 x축은 yield
, y축은 yield 범위에 따른 count
aggregation function이 적용되어 그리고자 한 차트가 잘 그려졌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가 학습시키고자 하는 모델은
barley.json
과 같은 데이터가 input으로 들어왔을 때- 모델 안에서 Vega-lite 그래머 기반의 적절한 plot을 그릴 수 있는 코드를 생성해주는 language translation 문제를 해결 하는 것입니다.
- 이를 위해서 실제 데이터의 필드를 str, num으로 바꾸어 모델에 넣은 후 Vega-lite Spec를 아웃풋으로 받습니다.
- 출력으로 나온 Vega-lite spec에 원본 데이터 필드를 다시 mapping 시켜 최종 Vega-lite spec을 만든 후 그대로 웹에 올려주면 됩니다.
Training data
11개의 데이터셋에 대한 4300여개의 Vega-Lite code를 학습용 데이터셋으로 사용합니다. 참고로 데이터셋 분포는 Training : Eval : Test = 0.8 : 0.1 : 0.1
입니다.
Model config & Training
Config
학습시키는 모델의 config입니다. 기존대로 모델은 AttentionSeq2Seq
을 사용하였으나 다른 부분들을 몇 가지 수정해보았습니다.
- LSTM cell -> GRU cell 로 변경
- Dropout 수치를 0.5 -> 0.8로 변경
- epoch 수를 20000 -> 15000으로 변경 (3000마다 save)
Training
이제 터미널에 가서 가상환경 잘 설정해두고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친 후 학습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1
2
python3 -m bin.train --config_paths=\
"example_configs/nmt_medium-Copy1.yml,example_configs/train_seq2seq.yml,example_configs/text_metrics_bpe.yml"
[결과]
대략 2일정도 소요되었습니다.
Tensorboard - Loss
tensorboard를 활용해 train 과정이 어땠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다들 잘 아실 것 같습니다만, summary 데이터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칩니다.
1
tensorboard --logdir .
학습이 마무리될 즈음에는 loss가 0.03 정도의 값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쉽게도 accuracy같은 정량적인 metric을 사용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직접 결과를 보고 평가해보겠습니다.
Web Demo
웹 데모의 경우 data2vis 깃허브의 webserver.py
를 약간 변형하였고, 직접 학습시킨 모델(model.ckpt-15000
)을 연동시켰습니다.
모델에 random한 test data를 불러와서 Inference한 후 Vega-lite spec을 웹에 그린 결과입니다.
그럴듯한 plot이 꽤 나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Conclusion
현재 저희는 프로젝트에 맞는 웹 페이지를 구현하는 중이고, 모델 개선과 관련하여 팀 내에서 논의하고 있습니다.
모델 쪽은 저의 일이기 때문에, 제가 생각해둔 바로는
- plot의 종류를 다양화한다.
- plot의 테마를 다르게 만들 수 있도록 한다.
- 더 많은 aggregation 기능을 추가한다.
- (본질적으로는 Vega-lite 말고
plotly로 가고 싶다는 생각이 있음…) : 다양화시키기 수월해보여서 등이 있습니다.